카테고리 없음

원숭이두창. 증상, 전파 경로, 진단 및 예방과 대응 방법 (세니젠. 진단키트)

JS 1호점 2024. 10. 17. 12:43
반응형

세니젠 주가가 엠폭스(원숭이두창) 진단키트 수출허가 소식에 17일 가격제한폭까지 치솟았다.

원숭이두창이란?


원숭이두창(monkeypox)은 주로 중앙아프리카와 서아프리카에서 발생하는 희귀한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주로 동물에서 사람으로 전파됩니다. 최근 인간 간 전염이 발생하면서 세계적으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원숭이두창 증상


원숭이두창의 증상은 보통 5~21일의 잠복기 이후에 나타나며, 아래와 같은 단계별로 진행됩니다.

1. 초기 증상 (발열기)


발열: 원숭이두창의 초기 증상은 고열로 시작되며, 38도 이상의 발열이 흔합니다.

두통: 지속적이고 강렬한 두통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근육통: 전신에 걸쳐 근육이 아프며 피로감이 심하게 나타납니다.

림프절 부종: 원숭이두창의 특징적인 증상으로,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 등에서 림프절이 부어 오릅니다.


2. 발진기


발진: 발열 발생 후 1~3일 후에는 얼굴을 중심으로 발진이 나타나며, 팔, 다리, 손바닥, 발바닥 등으로 확산됩니다.

구진, 수포 및 농포: 초기 발진은 구진(단단한 돌기)으로 시작하며, 수포(물집)로 진행한 후 농포(고름)로 발전합니다.

딱지 형성: 농포가 터지면서 딱지가 생기고,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떨어집니다.


원숭이두창의 전파 경로


동물-인간 전파: 원숭이두창 바이러스는 주로 감염된 동물, 특히 원숭이, 설치류 등의 체액이나 물린 상처를 통해 전파됩니다.

인간-인간 전파: 감염자의 피부 병변에 직접 접촉하거나, 호흡기 비말, 침, 체액을 통해 전파될 수 있습니다. 감염자의 개인 물품(의류, 침구 등)을 통해서도 감염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원숭이두창의 진단

세니젠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엠폭스 바이러스 검사 진단키트에 대한 수출 허가를 획득했다.

임상 진단: 발열, 림프절 부종, 특유의 발진이 있는 경우 의사는 원숭이두창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실험실 검사: 확진을 위해서는 PCR(중합효소 연쇄반응) 검사를 통해 바이러스 유전자를 확인하거나, 병변에서 바이러스를 배양하여 확인하는 방식이 사용됩니다.


원숭이두창의 치료 방법


현재 원숭이두창에 대한 특정 치료제는 없으나, 증상 완화를 위한 대증 요법과 예방적 치료가 가능합니다.

1. 대증 요법


해열제 및 진통제: 발열과 근육통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수분 공급: 체액 손실을 예방하고 회복을 촉진하기 위해 충분한 수분 섭취가 필요합니다.

상처 관리: 발진이 발생한 부위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감염 예방을 위해 소독과 붕대 처치를 할 수 있습니다.


2. 항바이러스제 및 면역글로불린


항바이러스제: 티코비리마트(Tecovirimat) 등의 항바이러스제가 사용되기도 하나, 사용 가능 여부는 국가별로 상이합니다.

면역글로불린: 심각한 증상을 겪는 환자의 경우 면역글로불린 투여를 통해 증상 완화를 도울 수 있습니다.


원숭이두창 예방 방법


백신 접종: 원숭이두창에 대한 특별한 백신은 없으나, 천연두 백신이 원숭이두창 예방에 85% 정도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개인 위생 관리: 감염 가능성이 있는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고, 손을 자주 씻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염자 격리: 감염된 환자는 다른 사람과 접촉을 피하며, 병변 부위를 노출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원숭이두창 발생 시 대응 방법


의료기관 방문: 원숭이두창 증상이 의심되는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단을 받고,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건당국 보고: 원숭이두창 확진 판정을 받으면, 보건당국에 보고하여 추가 전파를 막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격리 및 자가격리: 감염자는 격리 치료를 받아야 하며, 가정 내에서도 가족과 분리된 공간에서 지내야 합니다.


원숭이두창은 비교적 전파력이 낮지만, 전염병인 만큼 예방 조치를 철저히 하고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